전체 글(46)
-
AWS ECS 업데이트 - 이제는 간편하게 AutoScaling 스케줄 기능
원래 ECS에서 오토스케일링을 조정하려면 Cloudwatch에서 경보를 기반으로 하던가 이벤트 브릿지를 이용해서 조절해야 했다.그런데 2024년 11월 20일 갑작스레 오토스케일링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다."서비스 오토 스케일링" 이라는 탭이 추가 된 것 기본적인 조정 정책은 기존과 큰 차이가 없다. 보기 좋게 바뀌고 이녀석만 수정가능하도록 기능을 외부로 뺀 듯 하지만 시간별로 동작하는 기능은 편리하게 가능하다. 이제서야 시간대별로 켜고 끌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해주다니.EC2에 있는 오토스케일링 기능 모두 가져오려면 얼마나 걸릴지 모르겠다. 보통 쌍으로 스케일 인 스케일 아웃을 걸어주면 된다.대부분의 AWS + Linux 사용자라면 Cron을 잘 알테니 설정하기도 어렵지 않다.개인적으로 좋은 기능이라고 ..
2024.11.22 -
참으로 말을 안듣는 직장 사람들
회사생활에 불만과 짜증의 대부분은 직장 상사에게 몰려있다.그중 제 1위는 팀장일거고(제일 많이 부딫히니까) 소규모 회사면 대표이사나 임원급이 욕받이 대상이다.리더들의 욕이야 다른 분들도 많이 하니 그렇다 쳐도그만큼 중요한 건 같이 일하는 직장 동료 수준이라고 본다. 가끔보면 이사람이 진짜 학교를 나왔는지 아니면 이세계에 있다가 온건지 모를 사람들이 많다. 뉴스같은데서는 MZ세대라고 묶어서 부르지만 실상은 그 안에서 개판인 사람들을 묶어서 MZ라고 하는 것에 가까울 수도 있다. 차라리 미디어에서 이야기하듯 할말 당당하게 하고 챙길거 챙기는게 왜 문제가 된다는 말인가.그 안의 속뜻은 챙길건 챙기는데 할건 안한다는 소리가 내포되어 있는 건 아닐까. 이야기가 잠시 샜는데 얼마 안되는 회사 생활중 만난 같이 일하..
2024.05.24 -
[AWS] AWS S3의 파일(객체)을 관리하는 방법
AWS S3를 쓰다보면 파일질라와 같이 파일시스템 방식으로 S3내의 객체를 관리하고 싶을때가 있다. 이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브라우저에서 AWS 콘솔을 이용하여 관리 - 가장 심플하고 설정도 쉽다. 브라우저 기반으로 하므로 메모리를 많이 잡아 먹는다. 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리 - 개인 무료버전이 적고 Win/Mac/Linux를 모두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적다. 회사에서 쓰려면 대부분 $40 정도를 내야 한다. 브라우저 기반 관리 방법은 다음을 참고 추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cyberduck : 이 오리 사용은 무료입니다. 기부창 보기 싫으면 10USD기부로 해결하는 혜자 구성 심플/저렴/세팅 편함, Windows와 Mac OS 모두 지원 써보고 괜찮으면 구매/기부 해서 ..
2024.01.19 -
S3 Browser 사용방법
Amazon S3 의 객체를 파일시스템(Filezilla, sftp 등) 방식으로 관리하는 툴 중 하나인 S3 Browser 사용법 S3 Browser는 Freeware(개인)이며 기업에서 사용하려면 Pro Version($39.99)을 구입해야 한다. 장점: 쉬운사용, S3에 최적화된 기능, 권한설정을 잘 해놓으면 콘솔접속 없이도 S3대부분의 기능을 컨트롤 가능 단점: Deep한 기능은 Pro에서만 제공, Windows 전용(Mac, Linux 불가) 우선 S3에 들어가서 계정생성 및 키를 만든다 Root 키는 절대 쓰지말고 IAM에서 제한된 권한을 발급한다. https://s3browser.com/aws-access-key-id-and-secret-access-key.aspx Access Key Id..
2024.01.19 -
[AWS] S3 특정 버킷 또는 폴더에만 접근 권한 부여하기
Amazon S3를 사용하다보면 보안 문제로 특정 사용자에게 제한적인 권한을 줘야할 때가 있다. 보통 S3를 처음 쓰거나 할때는 전체 권한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S3에 접근하는 계정이나 App이 많아지면 보안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가 접근하지 말아야 할 버킷에 파일을 삭제하거나 다운로드 받는 등) 1. IAM에서 사용자 추가 2. 사용자계정의 엑세스키 만들기 3. 사용자선택 후 권한 추가 -> 인라인 정책생성 4. Json 탭 선택 후 아래 코드 입력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Sid": "VisualEditor0", "Effect": "Allow", "Action": [ "s3:ListBucketVersions", "s3:ListBucket" ..
2024.01.18 -
전산쟁이가 말하는 필요자격증 - 클라우드관련
2020.02.07 - [생활정보/IT] - 대충 전산쟁이가 말하는 필요 자격증 대충 전산쟁이가 말하는 필요 자격증 취업난이 가속될때마다 취업에 도움이 된다는 자격증 학원은 미어터짐 인턴으로라도 들어가려면 무슨 무슨 자격증이 있어야 한다더라 하면서 몰리는 것도 넌센스 경력있는 신입을 뽑는다는 회 gazuaa.tistory.com 2020년에 필요한 자격증을 정리했었는데 4년이 지난 지금 생각해보니 미래를 보는 눈이 부족했던 것 같다. 최근 들어 느끼는 것이지만 아래 자격증도 따놓으면 좋다.(내가 따서 말하는거 아님) 클라우드 관련 자격증 1. AWS 자격증(AWS Cloud Practitioner, AWS Associate 등) - 클라우드쪽 엔지니어가 아니더라도 기본적인 클라우드 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
2024.01.15